cover image

[SayArt] Famous Artists MBTI Personality Type_ 쿠사마야요이, 빈센트반고흐, 앤디워홀,데미안허스트의 MBTI는 무엇일까?

In the Korean community,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s a hot topic Nearly everyone has taken the test to determine their personality type or to introduce their MBTI type to others because it has become a popular online meme.

 

한국 커뮤니티에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가 화제입니다. MBTI는 온라인에서 인기 있는 밈이 되었는데요.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성격 유형을 알아보거나 자신의 MBTI 유형을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기 위해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The MBTI is Myers-Briggs Type Indicator. It is a questionnaire that people fill out on their own. Companies used to use it a lot to find out about their employees, but because it has some flaws people now use it more for fun.
 

MBTI는 Myers-Briggs 유형의 지표입니다. 본인 스스로 작성하는 설문지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예전에는 회사에서 직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많이 사용했지만 신빙성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제는 재미로 더 많이 사용합니다.

Now let's take a look at which Artist were determined to have each MBTI type.
오늘은 유명한 몇몇 작가들의 MBTI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Andy Warhol and Vincent Van Gogh personality type is INFP, (Introverted, Intuitive, Feeling, Perceiving). INFPs often described as an "idealist" or "mediator" personality. People with this kind of personality tend to be idealistic, creative, and driven by high values. Like these characteristics, Vincent van Gogh thought it was important to stick to what he believed in. Self-expression was important to Vincent because of how sensitive he was and how much he wanted to be himself. 
 

앤디워홀과 빈센트 반 고흐의 성격유형은 INFP (내향적, 직관적, 감정적, 인지적) 입니다
INFP는 종종 "이상주의자" 또는 "중재자" 로 묘사됩니다.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이상주의적이고 창의적이며 높은 가치관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처럼 빈센트 반 고흐는 자신이 믿는 바를 고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에게 자기 표현은 그가 얼마나 민감하고 얼마나 자신이 되고 싶은지를 표출 해야 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했습니다.


INFPs often spend a lot of time 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and coming up with ideas, stories, and possibilities along the way. Some people might call him a visionary.
 

NFP는 종종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아이디어, 이야기 및 가능성을 생각해 내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그래서 이 성격유형의 사람들을 몽상가라고 부릅니다.

INFP personality type Andy Warhol is a deep thinker, but he is often too quiet to be noticed. He likes to be alone, but he is not shy. He is usually nice, but not always helpful. He is smart, but sometimes he is too trusting to see when someone is taking advantage of him.
 

앤디 워홀도 INFP 유형입니다. 그는 생각이 깊은 사람이지만 가끔은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조용한 성격이라 합니다. 그는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소심하지는 않습니다. 친절한 편이지만 남을 항상 도와주는 편은 아닙니다. 똑똑하지만 사람을 잘 믿어서 누군가가 자신을 이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지 못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Yayoi Kusama’s personality type is ISFP (Introverted, Sensing, Feeling, Perceiving). This personality type can be described as a “Beautiful Daydreamer”
야요이 쿠사마의 성격유형은 ISFP (내향적, 감각적, 감정적, 인지적) 입니다.

ISFPs can be very modest, often underestimating their own abilities. They want to create and display beauty, but do not want to be in the spotlight. They want their works and observations to speak for themselves. Like Yayoi Kusama, people with ISFP personality type love to work in solitude or with tangible projects such as painting, sculpture, or interior design.

ISFP는 겸손한 편이며 이 때문에 가끔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합니다. 아름다움을 창조하고 보여주기를 원하지만 부담스러운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를 원하지는 않습니다. 그들은 그저 자신의 작업과 결과물이 스스로를 대변하기를 원합니다. 야요이 쿠사마와 같이 ISFP 성격 유형을 가진 사람들은 고독하게 작업하거나 그림, 조각 또는 인테리어 디자인과 같은 유형의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Damien Hirst's personality type, ENTJ (Extraverted, Intuitive, Thinking, Perceiving)
데미안 허스트의 성격유형은 ENTJ (외향적, 직관적, 사고적, 인지적) 입니다. 

ENTJs are motivated to organize change and are good at making plans. They can see problems quickly and think of new ways to fix them. They also enjoy coming up with long-term plans to make their vision come true. They are usually good at logical reasoning and can talk and think quickly.
 

ENTJ는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좋아하고 계획을 세우는 데 능숙함을 보여줍니다. 때문에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법을 생각하는 능력이 강합니다. 또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장기 계획을 세우는 것을 즐겨합니다.

Hirst's words of conviction reveal his ENTJ characteristics. “I was taught to break through head-on into what I couldn't avoid. Death is one of them. A society that tries to live without thinking about death is foolish. Because the more we think about death, the more passionately we live our lives. It's like feeling that a flower is more beautiful because it doesn't bloom forever."
 

허스트의 신념을 이야기 한 말 에서는 그의 ENTJ 성향을 보여줍니다. “나는 내가 피할 수 없는 것에 정면으로 돌파하라고 배웠습니다. 죽음이 그중 하나입니다.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서 살아가려는 사회는 어리석습니다. 죽음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우리는 더욱 열정적으로 삶을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꽃이 영원히 피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더욱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과 같습니다.

Sayart.net
LUHA LEE, luhachloe@gmail.com 

LUHA LEE

LUHA LEE

K-pop, K-Fashion, K-Drama News, International Art, Korean Art

Related articles

[SayArt] Art student eats Maurizio Cattelan's banana at Leeum Museum 마우리치오 카델란의 바나나를 먹어버린 대학생
[SayArt] Exhibitions in Korea in May_꼭 봐야 할 5월 전시소식
[SayArt] Tour of galleries for the first time at The GALLERIES ART FAIR 2023 화랑미술제 첫 참가 갤러리들
[SayArt] 6 Gallerie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The Galleries Art Fair 2023